EBS 문해력 유치원 10부 요점정리, 쓰기가 쉬워지는 놀잇감의 비밀
연필만 쥐면 힘들어하는 아이, 쓰기 싫어하는 아이 등의 사례를 통해 소근육과 문해력의 관계를 알아본다. 이와 함께 소근육과 문해력을 키우는 방법을 소개한다.
5-6세 아이들에게 쓰기를 권하면 손이 아프다고 몸을 베베꼬고 힘들어하죠.
쓰기를 좌우하는 소근육의 힘
<아이들이 쓰기 싫어하는 이유는?>
아이들에게 쓰는 일은 힘든 일
쓰기에 필요한 손의 감각, 힘 소근육 발달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아이들에게는 처음이고 힘들었을 연필 잡기
대근육 발달 후 소근육이 발달
몸의 안쪽부터 바깥쪽으로 근육이 발달
따라서 끝부분에 있는 신경이 마지막에 발달을 해요.
근육 발달 순서: 팔 →손목→손→손가락
머리까지 좋아지는 소근육의 힘
소근육 운동은 쓰기의 바탕이 되고, 학업 성취에도 영향을 줍니다.
유아 때 소근육이 발달 여부가 취학 후 학업 성적을 좌우하게 된다고 해요.
운동을 관장하는 소뇌와 인지 기술을 담당하는 전전두엽.
긴밀하게 연결된 소뇌와 전전두엽
손을 많이 쓸수록 인지 기능이 높아집니다.
소근육 발달 정도에 따라 연필 잡는 방법도 다릅니다.
같은 6세 아이들도 연필 잡는 방법이 천차만별이더군요.
연필 잡기와 소근육의 관계는?
연필 잡기의 단계는 초기 잡기 →전이적 잡기→ 성숙한 잡기
잡기 방법이 다른 이유는?
소근육 발달에 따라 잡기 방법이 달라져요
주먹 잡기: 가장 초기 잡기 단계에 해당
성숙한 잡기: 손끝을 미세하게 움직여 쓰는 방법, 힘이 덜 들이고 빨리 쓰기 가능.
바르게 연필 잡는 방법 언제부터 가르쳐야 할까요?
또래여도 다양하게 나타나는 잡기 방식
시간이 지나면 편하고 자연스러운 방식을 찾게 된다고 합니다.
고쳐주려고 너무 애를 쓸 필요 없고, 스스로 편한 방법을 터득할 때까지 기다려주면 됩니다.
필기구의 특성에 따라서도 달라지는 잡기 방법
소근육이 받는 부담 증가 : 사인펜 < 색연필 < 연필
초기 잡기 단계에서는 아이 손에 맞는 필기구 사용이 필요해요.
<아이의 소근육 발달 정도를 확인하는 테스트>
소근육 테스트 1. 단추를 스스로 채웠다가 풀 수 있다.
소근육 테스트 2. 종이에 그려진 동그라미를 가위로 오려낼 수 있다.
소근육 테스트 3. 주전자나 물병의 물을 거의 흘리지 않고 컵에 붓는다.
소근육 테스트 4. 리본이나 운동화 끈을 스스로 묶을 수 있다.
6살은 4개 중에 3개는 할 수 있습니다.
소근육을 발달시키는 놀이
1. 색종이 개구리 경주 - 손가락 힘을 조절하여 튕겨서 결승선에 통과하는 게임. 처음에는 어려워하는데 연습하니 손가락 힘을 조절해서 성공을 합니다.
2. 종이접기 - 종이접기 순서를 보며 접으면서 문해력을 키우고, 손가락 감각도 늘리고
3. 블록 - 조작 과정을 통해 소근육 발달
소근육은 자연스럽게 발달하는 거 아닌가요?
요즘 아이들은 소근육 발달이 지연되는 추세입니다.
원인은 디지털 미디어에 둘러싸여 자라나는 아이들
그로 인해 손을 쓰는 놀잇감이 감소했다고 해요
그리고 아이가 스스로 손으로 할 수 있는 일을 부모님이 대신해 주고 그로 인해 놓치기 쉬운 소근육 발달.
예전에는 종이인형, 구슬치기, 딱지치기를 하며 자연스럽게 소근육이 발달되었죠.
문해력을 길러주는 보물찾기
쪽지를 활용한 보물 찾기도 가능. 처음 발견한 쪽지에 '식탁 다리'가 쓰여 있으면 그 장소로 이동.
거기에 가면 '그림책 제목' 이 써 있고, 책장에서 그림책 찾기로 연결.
그림책 안에 또 쪽지가 있고, 이런 식으로 연결이 되어 보물을 찾기
거울놀이 거울과 함께 반쪽짜리 카드 카드를 거울에 세워서 비추면 글자가 완성. 한글 자모의 대표적인 특징인 대칭성을 경험하게 해 줍니다.
궁금이 상자 - 보지 않고, 손의 촉감만으로 모양을 유추하는 활동. 만지면서 촉감으로 배울 수 있어요.
자주 만지고 경험할수록 성장하는 소근육
스티커, 찰흙놀이, 오리고 붙이기, 콩 옮기기, 블록 만지고 놀기.
바둑돌이나 페트병 뚜껑 치기 (알까기 )
집에서도 쉽게 할 수 있는 구리 튕기기 , 종이접기- 설명서 보고 이해하기, 개구리를 접은 후 튕겨보기
블록놀이, 거울로 글자 찾기, 손 넣어서 글씨 맞추기 한번 해보고 아이들 문해력도 쑥쑥, 소근육 발달도 시켜봅시다.
당신의 문해력 (당신의 문해력)
미래 핵심역량인 문해력을 키울 수 있는 EBS의 다양한 문해력 콘텐츠를 한 곳에서!...
literacy.ebs.co.kr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EBS 문해력 유치원 12부 요점정리, 한글, 언제, 어떻게,꼭 떼야할까? (0) | 2022.08.08 |
---|---|
EBS 문해력 유치원 11부 요점정리, 긴 책이 술술, 도서관의 마법 (0) | 2022.07.27 |
아기 장염 증상, 원인, 장염에 먹을수 있는 음식, 장염 증상별 대처법 (0) | 2022.07.26 |
EBS 문해력 유치원 9부 요점정리, 요리에 문해를 섞어주세요 (0) | 2022.07.26 |
EBS 문해력 유치원 8부 요점정리, 유아 어휘력의 모든 것 (0) | 2022.07.25 |